- 문화유산답사기

[경주/경주여행/경주고분여행]사적 제172호 경주 오릉과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제사를 모시는 곳, 숭덕전

安永岩 2015. 1. 22. 00:37

 

 

경주 오릉 慶州 五陵

사적 제 127호

 

이 능은 남산의 서북쪽에 해당하는 경주 분지의 남쪽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초기 박씨 왕들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릉은 크기도 간격도 일정치 않게 그야말로 오순도순 마주 누운 고분 다섯 기입니다.

 

경내에는 박혁거세의 제향을 받드는 숭덕전과 그 내력을 새긴 신도비가 있으며

그 위쪽으로는 알영부인의 탄생지라 전해지는 알영정이 자리하고 있다.

 

 

경주 오릉을 좌측으로 돌아 봅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신라의 시조 박혁거세와 그의 왕비 알영부인, 그리고 3명의 박 씨 왕인

남해왕(2대), 유리왕(3대), 파사왕(5대)까지

다섯 명의 무덤으로 전해지는 곳으로, 사적 127호이다.

 

 

오릉도 여느 왕릉처럼 소나무가 아름다운 능입니다.

 

 

 

 

 

 

 

경주에 위치한 왕릉중에 솔숲이 가장 아름다운 곳은 단연 삼릉입니다.

그다음으로 유명한 솔숲은 아무래도 안강에 있는 흥덕왕릉(신라제42대)이 아닐까요?

그리고 선덕여왕릉,진달래로 유명한 헌강왕릉,등등 산속에 있는 릉은 대부분 소나무숲으로

둘러 쌓여 있고 평지에 있는 릉은 소나무로 유명합니다.

그 중에 오릉도 여느 왕릉처럼 갖가지 모양의 소나무가 멋집니다.

 

 

 

 

사적 제172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오릉은 우선 그 면적이 다른 릉에 비해 엄청 큽니다.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무덤이고 시내 중심부 평지에 있고 성역화하기 쉬운 장소라서

그런가 봅니다.

 

 

소나무 하나 하나에 시선이 갑니다.

 

 

오릉 가장자리를 돌면서

제각각의 생김새를 보이고 잇는 소나무를

하나 하나 만지고 포옹하고 보듭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전 산에 가면 오래되고 잘 생긴 나무를 보면 꼭 한참을 끌어 않고 인사를 나눕니다.

몇 백년된 나무는 나도 모르게 경외감이 생기면서 조심스럽습니다.

나무의 깨끗한 氣를 받고 싶기도 하고, 나 자신을 겸손하게 낮추고 싶기도 하고,

비우는  마음을 갖고 싶기도 하고...하여튼 여러가지의 묘한 느낌을 갖습니다. 

 

 

 

 

 

 

왕릉을 보고

조금은 조심스러운 표현일지 몰라도

앞에서 언급했드니 여인네의 육체미를 느끼시지 않나요?

겨울에 찾으면 만날 수 있는 풍경입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박혁거세가 나라를 다스린 지 61년 만에 하늘로 올라갔는데,

7일 후 그의 유체가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 땅에 떨어졌다.시신을 수습해 한곳에 묻으려 하자

갑자기 큰 뱀이 나타나 방해를 하는 바람에, 다섯 군데로 나눠 묻었다고 하여 '오릉'이라 부르기도 하고,

뱀이 나타났다고 해서 '사릉'이라 불리기도 한답니다.

 

 

 

 

경주 오릉은 사계절 모두 사람들의 출입이 가장 많은 왕릉이지만

겨울에 찾는 오릉이 가장 아름답습니다.

제 생각이지만...

 

 

 

 

 

 

 

 

 

 

 

 

내부 구조는 알 수 없으나 겉모습은 경주 시내 평지 무덤과 같이 둥글게 흙을 쌓아 올린 형태이다.

1호 무덤(서총)은 높이 약 7.86m로 가장 크며,2호 무덤(남총)은 표주박형으로 봉분이 두개인 2인용 무덤입니다.

 

 

 

오릉을 둘러 싸고 있는 소나무가 한결 같이 릉을 향을 향해 揖(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 같이 보호 받고 특별대우를 받고 있는 명품송들입니다.

 

 

 

 

 

 

 

 

 

 

 

 

 

 

 

 

경내에는 박혁거세의 제향을 받드는 숭덕전과 그 내력을 새긴 신도비가 있으며

그 위쪽으로는 알영부인의 탄생지라 전해지는 알영정이 자리하고 있다.

 

 

 

 

 

숭덕전崇德殿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54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제사를 모시는 곳으로 오릉(五陵)의 남쪽에 있다.
조선 세종 11(1429)에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선조 33(1600)에 다시 지었고 숙종 20(1694)에 수리하였다.
지금 경내에는 조선 영조 35(1759)에 세운 박혁거세와 숭덕전의 내력을 적은 신도비가 있다.
이곳은 경종 3(1723)에 이르러 숭덕전이라 불렸으며 제사를 모시는 참봉 3인을 두게 되었다.
처음에는 국가에서 모든 것을 주관하였으나 임진왜란 이후에 와서

박씨 문중에서 주관하여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현지 안내문>

 

 

 

 

 

 

 

 

 

 

 

 

 

 

 

 

알영정

 

알영 부인의 탄생설화가 깃든 알영정,

1931년에 세운 비석 ‘신라시조왕비탄강유지비문’은 알영 부인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것이고,

우물은 비석의 뒤편에 있는데, 지금은 덮개석으로 덮여있어 안을 볼 수는 없지만,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왕비 탄생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박혁거세의 부인이며 신라 최초의 왕비인 알영 부인은 기원전 53년 정월에 탄생하였다.

우물로 물을 길러 온 한 노파가 우물 속에 있는 용을 발견했고, 용은 왼쪽 옆구리에서 여자아이를 낳고 하늘로 올라갔다.

아이는 예쁜 얼굴에 자태가 남달랐는데 이상한 점은 아이 입술이 꼭 닭의 부리처럼 생겼다.

노파가 그 아이를 안고 알천 냇가로 가서 목욕을 시키자 뾰족한 부리가 떨어져 나갔다.

이후 노파는 우물의 이름을 따서, 아이의 이름을 알영이라 짓고 자신의 집에 데려와 키웠다.

이후 총명하고 예쁘게 자란 알영은 박혁거세의 왕비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왕비 탄생설화가 전해지고 있는 알영정(우물)

덮개석으로 덮여 있어 안을 볼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