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慶州 拜洞 石造如來三尊立像)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慶州 拜洞 石造如來三尊立像) 보물 제63호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65-1 우리가 흔히 '경주 배리 삼존불(慶州 拜里 三尊佛)'이라고 하는 이 불상은 경주 남산 서쪽 자락의 三拂寺에 인접해 있습니다. 이 곳 禪房寺터 부근에 흩어져 누워있던 것을 1923.. - 문화유산답사기 2013.11.01
[경주]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속칭,에밀레종) 성덕대왕신종 聖德大王神鐘(속칭,에밀레종) 통일신라 771년,높이3.658m,무게 18.908kg±2kg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은 원래 성덕대왕(재위 702~737)의 원찰願刹(왕의 넋을 기리기 위한 사찰)이었던 봉덕사奉德寺에 있다가 이 절이 폐허가 되면서 영묘사靈廟사,경주읍성 남문밖,동부동옛국립경.. - 문화유산답사기 2013.09.16
[경주] 국보 제 38 호, 고선사터 삼층석탑 고선사터 삼층석탑 高仙寺址三層石塔 통일신라 686년 이전,높이 10.2m 국보 38호 이 탑이 있던 고선사高仙寺는 『 삼국유사 』에 따르면 원효대사(617~686)가 머물렀던 절입니다. 미술사학자인 우현又玄 고유섭(高裕燮(1905~1944)선생의 글에 의하면,1914년 5월 이 삼층석탑이 있던 주변에서 서당.. - 문화유산답사기 2013.09.16
[경주]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 보물 제 201호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산 69 이 곳은 통일신라시대의 神印寺라는 절이 있었던 곳으로, 남쪽에 3층 석탑이 있어'탑곡(塔谷)' 즉 탑골이라 부릅니다. 그리고 마애조상군이라는 명친은 높이 약 10m,사방둘레 약 3.. - 문화유산답사기 2013.09.01
[경남/거창] 구연서원 관수루(龜淵書院 觀水樓) 구연서원 관수루(龜淵書院 觀水樓)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2호 소재지 : 경남 거창군 위천면 항산리 769 관수루는 요수 신권(樂水 愼權),석곡 성팽년(石谷 成彭年),황고 신수이(黃皐 愼守彛) 선생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 사림이 세운 구연서원의 문루로 1740년(영조 16년)에 건립하였습.. - 문화유산답사기 2013.08.25
[경남/거창] 수승대와 요수정 이야기 거창의 명승지 수승대 계곡 과 요수정(樂水亭) 수승대 거북바위 경남 거창군 위천면 황산리 890번지 명승 제 53호 수승대(搜勝臺)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영남 제일의 동천으로 쳤던 ‘안의삼동(安義三洞)’ 중 하나인 원학동 계곡 한가운데 위치하는 화강암 암반으로 깊고 긴 계곡과 주변 .. - 문화유산답사기 2013.08.22
[경북/의성] 조문국사적지 와 의성조문국박물관 빙계계곡군립공원을 나와 의성으로 가는 28번국도를 따라 한참 가다 보면 전에 보이지 않던 범상치 않은 유적지가 나옵니다. 도로변에 인접한 고분군이 바로 그것입니다. 깨끗하게 잘 단장된 고분군입니다. 조문국사적지라~ 이름도 생소한 유적지인데 알고 보니 의성지역은 고대국가 조.. - 문화유산답사기 2013.08.21
[경북/안동] 이른 새벽에 들린 병산서원.그러나 만대루에 올라 보지 못하고... 나는 개인적으로 예천,안동만큼 지나치거나 자주 간 곳도 드물다. 문경,예천,영주,풍기쪽 산을 가면 반드시 거치게 되는 곳이 안동이다. 최근엔 예천에 학가산온천이 생겨서 더욱 자주 가는편이다. 그런데 거의가 관관차를 타고 가기 때문에 이 곳의 명승지나 관광지는 하회마을,세금내.. - 문화유산답사기 2013.08.19
5 cm의 기적,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여래입상 경주 남산에 가슴 찡한 마애여래입상 이야기가 있습니다. 경주 남산을 그렇게 제집 드나들 듯이 다니면서 꺼꾸로 누운 마애불상이 있다는 사실을 안지는 몇 해되지 않는다. 경주 남산은 골(谷)도 많고 절집도 많고 불상도 부지기수인데 정작 새갓골이 있다는 것도 건성으로 어디 쯤에 있.. - 문화유산답사기 2013.08.17
[경주] 전통과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곳,경주향교(慶州鄕校) 나라에서 세운 공립교육기관인 경주향교慶州鄕校 경주 향교는 경주시 교동에 자리한 공립교육기관입니다. 월정교를 지나 곧장 골목길을 들어 가면 바로 만날 수가 있습니다. 혹은 반월성,계림쪽에서 산책로를 따라 오면 월정교를 흐르는 조그만한 거랑을 건너면 향교를 들어 가는 동문.. - 문화유산답사기 2013.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