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집寺刹이야기

[서울/서울여행/서울절집여행]맑고 향기로운 도량 길상사吉祥寺

安永岩 2015. 1. 13. 15:36

'우리들이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게 되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적잖이 마음이 쓰이게 된다.

그러니까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인다는 뜻이다. 필요에 따라 가졌던 것이

도리어 우리를 부자유하게 얽어맨다고 할 때 주객이 전도되어 우리는 가짐을 당하게 된다.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흔히 자랑거리로 되어 있지만,그만큼 많이 얽혀 있다는 측면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

1971,법정<무소유>중에서

 

무소유 스님께서 가신지 벌써 4년 10개월입니다.

 

'금생에 저지른 허물은 생사를 넘어 참회할 것이다.이제 시간과 공간을 버려야겠다'는 말씀을 남긴 뒤

2010년 3월 11일(음 1월26일) 길상사에서 입적(세수 79세,법랍 56세)했다.

수행자로서 마지막까지 무소유의 삶을 실천한 스님은,

이 시대의 맑고 향기로운 연꽃이 되어 우리들 영혼을 밝히고 있습니다.

 

 

 

동 시대를 함께 호흡을 했다는 것이 참으로 행운였습니다.

생전에 꼭 한번 뵙지 못하고 스님의 언저리만 맨돌다 이제사

길상사를 찾아 스님의 체취를 느낍니다.

꽃무릇이 아름다운 9월에 오고 싶었는데

한 겨울에 오게 되었습니다.

성북동 부자들이 산다는 요세같은 곳에 길상사가 있습니다.

길상사의 2층으로 된 일주문 또한 요란합니다. 

三角山 吉祥寺 란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삼각산은 북한산의 옛 이름입니다.

북한산의 백운대,만경대,인수봉을 가르켜 삼각산이라고 하지요

 

 

 

 

 

길상사는 다 알다시피 서울의 3대 고급 요정에 속한 대원각 터였습니다.

북한산 아래 성북동 경치 좋은 곳에 위치한 일류 술집으로 고관대작,경제인들이 주로 찾았다는 곳입니다.

60~80년대 밀실정치의 현장인 대원각이 맑고 향기로운 절집 길상사로 다시 태어 난 것입니다.

그것은 무소유 법정스님였기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전 오늘.둘러 보면서 과거도 같이 볼까 합니다.

좋은 경치속에 술을 마시면서 놀았다는

그들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길상사 일주문

 

일주문의 주련은

신광불매만고휘유(神光不昧萬古徽猷)“부처님의 가르침이 어둡지 않아, 어느 때나 밝게 빛나고 있으리니!

입차문래막존지해 (入此門來莫存知解)“깨달음의 문에 들어 오려거든, 전에 알던 얄팍한 지식을 버리시오!

한 때 고급 요정였던 대원각의 이미지를 다 지우고 들어 서라는 일갈인 듯 합니다.

 

 

길상사는 제법 경내가 넓습니다.

북한산에서 내려 오는 계곡을 끼고 올라서서

먼저 스님께서 계시는 진영각을 참배하고 돌아서

내려 오면서 마지막으로 7층석탑을 참배합니다.

 

 

 

 

일주문을 들어 서서 우측 정랑으로 가면서 본 길상사 전경입니다.

곧 앞에 보이는 입간판 옆 계단으로 올라 갈 것입니다.

길상사의 첫 느낌은 아름다운 경치입니다.

국립공원북한산 기슭이니 당연하겠지만 이 어마어마한 부지가

한 때 개인 소유였다니 믿어지지가 않습니다.

더구나 드문 드문 위치한 기와집들에서 가무가 행해졌다니...

그 곳에서 술을  먹은 사람들은 다 누구였단 말인가?

 

 

 

 

부자들이 많이 산다는 성북동.

경사를 높여 가면서 자리한 집들의 담장이 하나 같이 무슨 요세같아

안에 사람이 사는지 모르겠네요.

그런 성북동에 위치한 길상사도 차츰 높이를 높여 가면서

절집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전각들이 한 때는 다 술집이름을 달았지만 지금은 절집의 이름을 달고 있습니다.

계단으로 올라 섭니다.

정면에 제일 먼저 맞이하는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입니다.

길상사의 중심전각입니다.

 

 

 

 

계단을 올라 서서 좌측으로 갑니다.

진영각에 모셔 놓은 스님을 먼저 참배하는 것이 예의일 것 같아서요

현재 극락전은 수리중이라 다소 어지럽네요

 

 

 

입구에 있는 길상사 안내 입간판

맑고 향기롭게의 글귀 한구절 한구절이 가슴에 와 닿습니다.  

 

 

 

 

길상사의 유명한 꽃무릇(석산)입니다.

 

 

 

 

 

계단을 올라 서면 좌측에 2층의 지장전과 공양간이 있고 건너편에 길상헌입니다.

길상헌은 공덕주 김영한님께서 말년을 보낸 곳입니다.

265년 된 느티나무가 좋은 쉼터를 제공합니다.

 

 

 

따스한 햇살이 길상사 경내를 두루 비추네요

꽃무릇이 피는 9월에도 좋지만 10월 단풍이 물들면 아주 황홀할 것 만 같은 길상사입니다.

 

 

 

 

          길상헌吉祥軒

 

공덕주 길상화(吉祥華)

본명 김영한(1916~1999) 1916년 민족사의 암흑기에 태어나 16세의 나이로 뜻한바 있어 금하(琴下) 하규일 문하에서 진향(眞香)으로

입문하였다.1937년 천재시인 백석으로부터 자야(子夜)라는 雅名으로 불리었던 그녀는 1953년 중앙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생전에 [선가 하규일 선생약전]등의 저술을 남겼다.

1987년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생애의 높고 아름다운 회향을 생각하고 7천여평의 대원각 터를 절로 만들어 주기를 청하였다.

1997년12월 14일 대원각 터가 '맑고 향기롭게'근본도량 길상사로 창건되는 아름다운 법석에서 법정스님으로부터 염주 한벌과

'길상화(吉祥華)'라는 佛名을 받았다.길상화 보살이 된 그녀는 "나 죽으면 화장해서 눈이 많이 내리는 날 길상헌 뒤뜰에 뿌려 주시오"라는

유언을 남기고 1999년 11월 육신의 옷을 벗었다.

질곡의 생애를 살았지만 평생을 모은 재산을 아낌없이 맑고 향기로운 도량으로 만들어 주기를 발원했던 그 맑고 고결한 영혼은

오래도록 빛바래지 않고 길이길이 고귀하게 남을 것이다.

<상사 안내책자 인용>

 

 

 

길상사 경내에는 곳곳에 스님의 체취를 느낄 수 있습니다.

 

 

        적묵당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 길상화(吉祥華)보살이 대원각을 법정스님에게 무주상보시하여 창건되었다.

1995년 6월 13일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의 말사인'대법사'로 등록한 후 1997년 길상사(송광사의 옛이름)로사찰명을 바꾸어 창건하였다.

법정스님은 길상사 창건 기념법회에서 기회가 될 때마다'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이 없었다면 오늘의 길상사는 없었을거라'하시는데,

특히 창건 11주년 법문에는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이란 말을 들을 때마다 몸과 마음에 전율 같은 것을 느낍니다.과연 제 자신이 맑고 향기롭게 살고 있는가를 스스로 묻게 됩니다.맑음은 개인의 청정을,향기로움은 그 청정의 사회적 메아리를 뜻합니다.'맑고 향기롭게'라는 이 말은

길상사가 존속하는 한 인연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인 화두가 되어야할 것입니다."라고 말씀하셨다.

 

 

 

 

 

 

깊은 계곡을 끼고 올라 가면서 스님들의 수행공간인 전각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맨 꼭데기에 법정스님의 진영각이 있습니다.

길상사는 봄,가을이 참으로 좋을 것 같은 풍경입니다.

 

 

 

길상사 꽃무릇

 

 

        진영각

 

 

 

 

단촐한 진영각 내부에는 법정스님의 진영이 모셔져 있고 다소의 유품도 전시되어 있다.

워낙에 무소유의 스님인지라 유품은 별로 없고 평소 즐기시던 책과 묵필,그리고 행적을 기록한 기록물들이 전부이다.

 

 

 

그리고 진영각 우측 담장아래에 스님의 유골이 모셔져 있습니다.

아주 작게 ~보일듯 말듯, 그나마 양지바른 곳에 모셔져 있습니다.

 

 

 

          법정스님의 유골

 

아주 초라하게 모셔진 유골이지만

난 아주 소박한 유골함을 보고는 큰 감명을 받았다.

이것도 아마 생전의 스님께서 아셨다면 대노하셨을 것이다.

그렇게 철저히 무소유로 사신 스님이였다.

난 한참을 이곳을 떠나지 못했다.

그리고 많은 생각들이 어지럽게 내 머리를 감싸고 흘렸다.

 

 

 

 

 

 

진영각 좌측 모서리에

법정스님의 증표인 나무의자,그리고 몇 권의 책

여기도 있습니다.

이 또한 많은 것을 느끼게 합니다.

 

 

 

 

 

 

 

 

 


진영각을 참배할려면 신발을 벗어야 하는데

머리맡에 조고각하(照顧脚下)라는 글귀가 시선을 끕니다.

‘발밑을 살피라’는 뜻이지요. 신발을 잘 벗어 놓으라는 뜻도 되겠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지금,

자기의 존재를 살펴보라는 의미입니다.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스스로 살펴보라는 법문입니다.

순간순간 내가 어떻게 처신하고 있는지 돌아보라는 가르침입니다.

  

 

 

진영각의 뜰입니다.

 

 

 

 

 

 

 

 

 

 

길상사에는 스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참선을 위한 문이 항상 개방되어 있습니다.

 

 

 

 

 

눈이 내린 길상사의 풍경도 참으로 아름다울 것 같네요

 

 

         적묵당

 

 

 

 

대궐의 후문형태를 한 극락전 쪽문입니다.

그 옛날 대원각의 쪽문인가 봅니다.

 

 

 

 

 

맑고 향기롭게 사무실입니다.

좋은 일을 많이 하는 곳입니다.

 

 

 

 

 

         범종각

 

 

그 옆은 템플스테이하는 설법전입니다.

 

 

 

 

 

일주문에서 바로 올라 오면 만나는 관세음보살상

설법전 앞에 있습니다.

 

 

언뜻 보면 성모마리아상을 닮았습니다.

이 관음상은 천주교신자인 원로조각가 최종태 서울대학교교수님께서 만들고

법정스님께서 모셨습니다.

종교간의 화해를 상징하는 깊은 뜻이 담긴 조각상입니다.

 

 

길상7층보탑

이 탑 역시 성북성당과 덕수교회에서

참여 하여 만든 길상보탑입니다.

종교간의 화합의 상징입니다.

 

 

 

 

 

 

 

길상7층보탑 앞에서 본 길상사 전경

 

 

 

 

 

<무소유> 발간 25주년(1999년) 기념 개정판의 추천글에서

생전에 김수환 추기경께서도 "이 책이 아무리 무소유를 말해도 이 책만큼은 소유하고 싶다." 고 했습니다.

 

 

<2015년 1월 7일,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