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여행 130

경주 계림숲의 왕버들과 보라 맥문동꽃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제4대 탈해왕(脫解王) 9년 3월 밤, 왕이 금성의 서쪽 시림 가운데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고 신하에게 살펴보게 했다. 신하가 가보니 금궤 하나가 나뭇가지에 달려 있고, 흰 닭이 그 밑에서 울고 있었다. 신하가 돌아와 이 사실을 알리자 왕은 날이 밝는 대로 그 궤짝을 가져오게 해 열어보니 속에 총명하게 생긴 어린 사내아이가 있었다. 왕은 이를 기뻐하며 아이 이름을 알지라 부르고, 금궤짝에서 나왔으므로 성을 김씨(金氏)라고 했다. 이때부터 시림을 계림으로 바꾸고, 나라 이름도 계림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경주 계림숲 맥문동꽃 향연https://ayam3390.tistory.com/8882093 경주 계림숲 보라색 맥문동꽃 향연살다 살다가 별 희한한 광경을 봅니다. 태풍 카눈이..

경주 황룡사지 형형색색의 백일홍꽃 일품

어제 말복였고 오늘은 광복절입니다. 아직은 여름 한가운데이지 싶은데 왠지 마음은 벌써 가을로 향합니다. 경주는 생각 외로 강렬했던 햇살도 먹구름 속으로 간간히 숨는 바람에 선선한 바람과 함께 걸을만합니다. 잠시 빗방울도 떨어지기도 하였고요. 110년 만에 열대야의 기록을 갈아 치웠다는 뉴스가 흘러나오고~올해는 유독 찜통더위의 기승입니다. 22년 8월 힌남로 태풍때 물폭탄의 트라우마 때문에 비가 싫어졌지만 올해는 비가 기다려 질만큼 많이 가물어 모든 식물들이 말라가고 농부들은 물과의 전쟁입니다. 그래도 경주의 여러 꽃밭에는 여러분들의 노고로 꽃들이 보답이라도 하듯이 예쁜 꽃들을 피워 방문객들을 기쁘게 합니다.  ♣방문일 : 2024,8,15,오후   오늘도 하늘이 좋은데 가끔씩 소나기성 먹구름이 흐르네요 ..

경주 단계서당丹溪書堂

경주 양동마을 나와 이웃한 다산리 단계서원으로 갑니다.배롱나무꽃 가로수길이 한적합니다.  입구에 오래된 누운 향나무가 반깁니다.  경주 강동면면 다산리 마을 서편 평지에 넓게 위치한 서원입니다.      [경주/강동]의병운동의 요람,단계서당https://ayam3390.tistory.com/8880978 [경주/강동] 우리 동네 의병운동의 요람,단계서당(丹溪書堂)양동마을에 갔다가 기계로 가는길에 기계 달성 4거리 못미처 우측으로 들어 가면 강동면 다산리인데 여긴 의병운동을 하시다가 돌아 가신분의 사당을 모신 우국충절의 마을입니다. 올랫만에 들ayam3390.tistory.com   단계서당(丹溪書堂)이곳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동한 권복흥(權福興,1555~1592)을 모신 사당입니다.영조 15년(173..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 안골 한바퀴~상춘헌,수졸당

♣탐방일 : 2024,8,9,금,오후♣날씨 : 더워서 그렇지(35도) 날씨만큼은 좋았답니다. 8월9일 평일인 금요일 오후,양동마을은 조용합니다.따가운 한낮의 햇볕때문이겠지요.거의 한달가까이 35도를 오르내리는 불볕더위가 계속되고 야외 할동자제를 당부하는 문자가 계속되다보니 밖을 나가면 거의 사람들이 다니지 않는듯한 요즈음입니다.그래도 얼굴,팔가리고 다니는 것은 괜찮지 않을까요? 해서 지난번에 이어서 양동마을을 엥코르~ 다시 다녀 왔답니다. 이번에는 연꽃단지가 있는 마을길을 따라서 안골 상춘헌,수졸당을 다녀 왔습니다.  쉬엄쉬엄 놀려 가면 담장에 핀 꽃들을 감사하며 거북이걸음으로 ~ㅎ♬    좌우 배롱나무꽃이 핀 양졸정과 그 아래 자리한 초가집들이 녹음속에 정겹다.지금 우리들이 사는 가옥구조를 보면 다 그..

다시 가본 양동마을 - 무첨당.대성헌 배롱나무꽃

우리 이웃에 경주가 있다는 게 얼마나 큰 福인지 모릅니다. 신라 천년의 고도였던 경주는 도시 전체가 국립공원 경주이고 문화재보고입니다. 특히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은 우리 집에서 10km도 안 되는 거리에 있다 보니 아주 자주 많이 가는 곳입니다. 그냥 쉬엄쉬엄 물勿자형 마을을 언덕 골골로 새소리 벗 삼아 바람과 동무하며 걷다 보면 세상사 근심을 모두 날려 버리고 저절로 힐링됨을 느끼지요. 따갑던 햇살이 조금은 누그리자 다시 양동마을을 갑니다. 지금 이맘때 양동마을의 풍경은 아무래도 배롱나무꽃입니다. 푸르름의 녹음과 함께 배롱나무꽃을 지난번에 이어서 오늘도 즐겼답니다.  ♣탐방일 : 2024,8,9,금,오후,날씨가 아직은 그래도 한 여름입니다.  지난번 보다 더 붉은 배롱나무꽃이 절정입니다.       물..

배롱나무꽃이 아름다운 경주 대릉원 야경

♣탐방일 : 2024,7,30,화,저녁  연일 35도를 오르내리는 폭염이 계속되고 밤잠을 설친다.확실히 3~40년 전의 햇볕과 지금의 햇볕이 확연히 다름을 느낀다. 예전의 햇볕은 그래도 거부감이 느껴질 정도의 햇볕은 아니였다.그냥 땀흘리는 정도의 여름 날씨였다.지금의 햇볕은 너무 강렬하다.그리고 무엇보다 따깝다.정말로 공기중에 오존층이 파괴되었나 보다.햇살이 왜 이리 따깝지? 낮에 나가기가 겁나는 요즈음 날씨이다. 아예 낮에는 방콕이다.방법이 없지 않은가? 운동도 해가 지고 나가는데 그것도 열대야때문에 포기하는 날이 많다.어서 이 여름이 지나기를 바랄뿐이다.    미추왕릉 주변 배롱나무꽃이 절정!

양동마을 관가정 배롱나무꽃

경주 양동마을은 경상북도 경주시 외곽에 있는 유서 깊은 양반 마을이다. 조선시대 양반마을의 전형으로 1984년 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한국 최대 규모의 대표적 조선시대 동성취락으로, 수많은 조선시대의 상류주택을 포함한 양반가옥과 초가 160호가 집중되어 있다.마을은 약 520년 전 형성되었다 하는데 현재 월성손씨 40여 가구, 여강이씨 70여 가구가 마을을 계승하고 있다.마을의 가옥은 ㅁ자형이 기본형이며, 정자는 ㄱ자형, 서당은 一자형을 보인다. 마을에는 아직도 유교사상이 짙게 남아 있어 매년 4, 10월에 선조를 제향하는 의식을 마을 공동으로 거행한다. ♣탐방일 : 2024,7,30,오후♣온도 : 35도 헐~☆  7월 30일이면 여름 한가운데..

경주 남산 기슭 배롱나무꽃이 아름다운 망월사,삼불사

이맘때 경주여행에서 빼놓 수가 없는 배롱나무꽃이 아름다운 곳으로 첨성대, 대릉원, 서출지, 종오정 등등이 있지만 남산서편 삼릉에 조용히 자리하고 있는 망월사와 삼불사에 배롱나무꽃도 조용한 절집풍경과도 잘 어울립니다. 제 개인적으로 옥련암과 함께 좋아하는 절집풍경입니다. 가을단풍은 옥련암, 배롱나무와 소나무가 있는 망월사, 삼불사입니다. 망월사와 삼불사는 계류를 끼고 함께 있는 절집이며 남산 산행길의 들머리구실을 하고 있답니다. 특히 삼불사는 보물 제63호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으로 유명한 절집입니다. ♣탐방일 : 2024,7,30,오후 ▼망월사 望月寺 보통 큰 절집에 있는 일주문,천왕문,금강문,불이문,해탈문 등이 있지만 망월사는 자그만한 절집이다보니 일주문 겸 천왕문이 있답니다.문을 들어 서면 바로 대웅전..

경주 월성 여름풍경(20240706)

▼월성(舊 반월성) 경주시 인왕동 387-1번지에 있는 신라의 궁궐유적으로, 반월성(半月城)이라고도 불린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16호로 지정되어 있다. 원래 있던 자연 지형에 흙벽을 쌓아 보강해 만든 토성으로, 신라의 법궁으로 사용되었다.  제가 반월성을 좋아 하는 이유는 가장자리에 오래된 노거수때문이다.소나무,굴참나무 등 낙엽송나무들이 빽빽히 자라고 있어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힐링됩니다.특히 수백년 된 건육질의 소나무들의 자태를 보고 있노라면 찰란했던 천년역사만큼은 아니지만 늠늠하게 당당히 고고하게 지금도 잘 자라고 있는 것에 충분히 감사합니다.   월성의 전체 둘레는 2,340m이며, 내부 면적은 207,528㎡이다. 동서의 길이는 890m, 남북의 길이는 260m인 긴 반달 모양의 테뫼식 토성이다..